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자영업 절반이 3년내 망해… '묻지마 창업'부터 막아야"

이호준 기자
입력 : 
2025-07-15 16:04:2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영업자 수의 급속한 감소로 폐업하는 사장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핀테크 기업 핀다가 '사장님들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외식업의 폐업률이 21.52%에 달하며, 많은 자영업자들이 입지 선정 실패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와 핀다는 AI 기반의 상권 분석 서비스를 통해 재창업을 지원하고 폐업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유행 편승 무턱대고 개업
코로나 시기보다 더 심각
핀테크 핀다, AI상권 분석
각종 비용·매출 예측후
인근상권 추적 '창업 도우미'
폐업률 낮추고 재기 지원도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깊어지는 내수 부진으로 폐업하는 자영업 사장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핀테크 기업 핀다가 정부와 함께 '사장님들 살리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핀다 조사에 따르면 제대로 된 정보 없이 무턱대고 창업을 한 것이 폐업의 주요인으로 확인됐는데, 인공지능(AI) 기술로 상권을 분석해 사장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폐업률을 낮추고자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국내 자영업자 수는 급속도로 줄어들며 올해 1월 550만명을 기록했다. 이 기록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와 맞먹는 수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590만명), 1998년(561만명),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였던 2008년(600만명), 2009년(574만명)보다도 작은 규모다.

가장 많은 자영업자가 뛰어든다는 외식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핀테크 기업 핀다의 AI 상권 분석 플랫폼 '오픈업'에 따르면 2023년 외식업체 81만8867곳 중 폐업한 업체는 17만6258개로 폐업률이 21.52%에 달했다. 5곳 중 1곳꼴로 문을 닫은 것으로, 코로나19가 가장 극심했던 2020년(9만6530개)보다도 약 82.6% 급증한 수치다.

이처럼 코로나19 시기보다도 폐업률이 증가하는 등 자영업 환경이 급속도로 악화한 배경에는 전반적인 경제 침체와 고물가뿐 아니라 반짝 유행에 편승해 무턱대고 창업에 뛰어들거나 입지와 상권 수요에 대한 정확한 정보 없이 가게를 여는 이른바 '깜깜이 창업' 행태도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지난 5월 핀다가 오픈업 사용자 18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매장을 폐업한 경험이 있는 이들의 폐업 사유 1위는 '입지 업종 선정 실패'(25%)로 나타났다. 폐업 매장의 영업 기간을 묻자, 절반 이상(52.0%)이 3년을 채 못 넘겼다고 답했다. '1년 이상~3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사장 비율이 42.1%로 가장 높았고, '1년 미만'이라는 답변도 10명 중 1명꼴(9.9%)로 나타났다.



불황 장기화로 자영업자 폐업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시내의 한 폐업 점포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불황 장기화로 자영업자 폐업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시내의 한 폐업 점포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렇게 폐업한 사장들은 5명 중 4명(80.8%)꼴로 재창업에 대한 의지가 높지만, 대부분 상권 분석과 입지 선정에 대한 준비가 부족했다. '최적의 상권 및 입지 선정을 다 끝냈다'고 답한 비율은 15.1%에 불과했고 '최종 결정을 못 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44.1%로 가장 많았다. '이제 막 상권과 입지 파악을 시작했다'고 답한 비율도 29.3%를 기록했고, '전혀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11.5%나 되었다.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날이 갈수록 커지자 정부와 민간 기업도 발 벗고 나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초부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재기 사업화(재창업)'을 주관하고 있다. 폐업조차 못 하는 영세 소상공인의 신속한 폐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한편, 이들이 안정적으로 임금근로자로 취업하거나 제대로 된 준비로 자영업 시장에 재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핀다도 여기에 동참해 이미 폐업했거나 폐업을 앞둔 소상공인의 재창업을 돕기 위해 오픈업을 기반으로 현장 진단, 창업 상권 분석을 통합한 'AI 재창업 진단 보고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상공인이 재창업을 위한 진단 설문에 참여하면 이를 토대로 AI가 창업 예정지가 속한 상가 및 인근 상권 정보를 종합해 예상 창업 비용과 월평균 매출을 분석하는 식이다.

황창희 핀다 오픈업 총괄은 "입지 선정이 창업의 성패를 좌우하지만 창업 시장의 정보 비대칭성이 심하다 보니 관련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가 많았다"며 "핀다의 AI·빅데이터 역량을 바탕으로 더 많은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는 데 앞장서고, 폐업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호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