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명절 용돈 인플레이션 이 정도였어?”…‘확’ 달라진 화폐교환 풍경

류영상 기자
입력 : 
2025-10-06 06:28:12
수정 : 
2025-10-06 06:28:4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절을 앞두고 5만원권의 수요가 증가하며 올해 1월에 교환된 화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만원권의 교환은 지난해보다 감소했으며 올해는 동전 교환 서비스가 완전히 사라진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올 추석에도 신권 교환 서비스를 지속할 예정이며, 조폐공사는 디지털 사업 확장에 힘쓰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만원권 교환 줄고 5만원권은 ‘역대 최대’
한은, 추석 앞두고 10월2일까지 신권교환

명절을 앞두고 은행에서 1만원권 교환보다 5만원권을 찾는 사람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액권인 5만원권 수요는 해마다 늘어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샤진 = 연합뉴스]
[샤진 = 연합뉴스]

최근 국회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은은 올해 설을 앞둔 1월 13∼24일 총 343억4000만원어치 화폐를 바꿔줬다.

이 가운데 5만원권은 158억6000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년 전인 지난해 설보다 10억원가량 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1만원권 교환은 지난해 설 149억3000만원에서 올해 설 140억1000만원으로 오히려 10억원 가까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5000원권은 28억원에서 27억8000만원으로, 1000원권은 16억9000만원에서 17억원으로 교환액에 큰 변동이 없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눈에 띄는 점은 올해부터 새 동전 교환이 아예 사라졌다는 점이다.

올해 설에는 10원, 50원, 100원, 500원 등 모든 종류의 주화 교환액이 ‘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설까지만 해도 10원화 10만원, 50원화 50만원, 100원화 200만원, 500원화 900만원 등 새 동전을 찾아가던 분위기가 ‘확’ 바뀐 것이다.

최근 현금 사용이 줄어든데다 물가 상승까지 겹쳐 동전 수요 자체가 미미해진 상황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올 추석에도 신권을 교환해준다.

차규근 의원은 “시중은행 대기 시간이 길면 한은을 이용해 신권을 교환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한편 1951년 조폐공사 설립 당시에는 동전 등 화폐제조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100%를 차지했으나 2023년 말 현재 24.1%까지 급감했다.

조폐공사는 온누리상품권,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등 디지털 사업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