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조원태 "새 정부, 美 관세로부터 항공산업 보호해야"

정지성 기자
입력 : 
2025-06-04 17:58:39
수정 : 
2025-06-04 19:39:1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에 맞춰 미국의 관세 압력으로부터 국내 항공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촉구했다.

그는 관세 부과가 기업 활동에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민간항공기 및 부품에 대한 현재의 무관세 상태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중 무역갈등과 세계 경제 불안정성이 한국의 수출 중심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인도 IATA 연차총회에 참석
관세 적용땐 부품 수출입 영향
조회장, IATA 집행위원 3연임
사진설명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사진)이 4일 출범한 이재명 정부에 미국의 관세 압력으로부터 국내 항공산업을 보호할 실질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조 회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인도 델리에서 열린 제81회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연차총회 참석 중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한국의 차기 정부는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항공산업이 관세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우선 과제로 삼아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미국 보잉과 유럽 에어버스의 항공기를 대량 구매하는 동시에 동체, 날개 구조물, 엔진 부품, 랜딩 기어 등 다양한 항공기 부품을 생산해 이들 글로벌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다. 항공기 부품에 관세가 적용된다면 부품 수출에서 타격을 입는 것은 물론 향후 수입할 항공기·예비부품 등 가격도 인상될 우려가 있다.

현재 대부분 항공기 부품은 국제 무역에서 무관세가 적용된다. 미국 등 30여 개국이 1980년 체결한 민간항공기협정(TCA)에 따라 민간용 항공기, 제트엔진, 부품 및 관련 장비에 대해 수입 관세를 0%로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조 회장은 "역사적으로 항공은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니었지만, 만약 관세가 부과된다면 기업 활동에 큰 혼란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며 "미국 상무부가 최근 민간 항공기와 제트엔진, 부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등 항공산업이 새로운 관세 위협에 노출됐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 무역갈등 영향으로 중국발 미국행 화물은 꽤 가파른 수요 감소 보이고 있다"며 "여객 수요는 비교적 안정적이나, 무역 협상 결과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수개월간의 정권 공백이 세계 경제 불안정과 맞물리며 기업 활동에 큰 부담이 됐다"며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갖췄기 때문에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예측 가능한 통상 환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조 회장은 이번 IATA 연차총회에서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세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IATA 집행위는 전 세계 항공사 최고경영자(CEO) 중 전문성과 경륜을 인정받은 인물로 구성되며, 국제 항공산업의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기구다.

[정지성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