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연 나눔비타민 대표·김은혜 우아한형제들 파트장
"바로 돈 기부할때보다
소셜벤처 지원했을 때
기부 생태계 더 넓어져"
"바우처는 대기업서 사용 많아
나눔비타민은 소상공인도 이용
지역 상권 발전에도 큰 역할"
"바로 돈 기부할때보다
소셜벤처 지원했을 때
기부 생태계 더 넓어져"
"바우처는 대기업서 사용 많아
나눔비타민은 소상공인도 이용
지역 상권 발전에도 큰 역할"

"아이들의 편의를 먼저 고민했다는 점에서 감동받았죠. 아이들이 민간 기업이나 지역 외식업주의 선의까지 누릴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어 인연을 맺게 됐습니다."(김은혜 우아한형제들 사회공헌팀 파트장)
개인이 기부센터를 찾아다니며 기부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휴대폰만 있으면 어디서나 기부할 수 있다. 소셜 벤처 나눔비타민은 이런 기부의 디지털 전환을 이룬 앱 '나비얌'을 만들어 대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먼저 손을 내민 곳은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이다. 최근 서울 송파구에 있는 우아한형제들 본사에서 김하연 나눔비타민 대표와 김은혜 우아한형제들 사회공헌팀 파트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김 대표는 줄곧 "나비얌 앱을 이용하면 수혜자들도 편리하게 나눔을 받을 수 있고, 기부자들도 앱을 통해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다"며 "투명하게 기부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대 출신인 김 대표는 대학 때 교육 봉사를 했다. 학원 다닐 형편이 안 되는 저소득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봉사를 하다가 나눔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2023년 나눔비타민을 창업했다.
결식 우려 아동은 나눔비타민을 통해 디지털 식권으로 편리하게 '착한가게'를 이용할 수 있다. 착한가게는 매출의 일정액을 취약계층을 위해 후원하는 가게를 뜻하는데, 현재는 전국에서 6만곳의 식당들이 나눔비타민을 이용하고 있고, 이들 중 4800곳이 착한가게다.
나눔비타민 수혜자는 나비얌 앱에서 디지털 식사권이나 쿠폰을 내려받아 착한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부자들이 디지털 식사권이나 쿠폰을 기부하는 셈이다. 단순히 후원 모금만 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전달 과정까지도 투명하게 공개된다.
김 대표는 이런 구조가 지역 상권 발전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복지 혜택으로 제공된 바우처는 대기업 등에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나눔비타민은 소상공인도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어서 지역 상권 발전도 공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아한형제들은 나비얌의 '편리' '투명' '확장'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에 매료됐다. 김 파트장은 "우리 사회공헌팀의 가장 큰 관심사는 먹거리 안전망"이라며 "우아한형제들은 결식우려 아동에 관심이 많았는데, 나비얌이 혁신적인 방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어 인연을 맺었다"고 밝혔다.
우아한형제들은 2023년 사회서비스 펀드에 15억원을 기부했다. 해당 펀드는 보건복지부 차원에서 취약계층 돌봄·교육·문화·주거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로, 나눔비타민은 이 펀드의 투자를 받은 것을 계기로 우아한형제들과 협력하기 시작했다.
우아한형제들은 또 작년에 나비얌 앱 안에서 '배민이 나비얌에 놀러왔어요'라는 이벤트를 하기도 했다. 배달의민족 캐릭터를 이용해서 결식 우려 아동들에게 나비얌을 홍보했고, 이 이벤트를 계기로 나비얌 이용자가 크게 증가했다.
더 나아가 우아한형제들은 현재 배달의민족 앱 내에서 기부실천가게들을 홍보하고 있다. 올 하반기부터는 나눔비타민을 이용하는 착한가게 사장님들도 소개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단순한 일회성 기부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기부에 대해 사람들이 더 인식할 수 있게 됐다며 환영의 뜻을 표했다. 그는 "기부는 안 하던 사람이 하게 만들고, 하던 사람이 더 잘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며 "누구나 쉽게 기부할 수 있고 신뢰 가능한 인프라를 만들어야 하는데, 우아한형제들의 경영철학과 잘 맞아떨어진다"고 말했다.
김 파트장은 "단순한 기부를 넘어선 진정한 사회적 가치를 만들고 싶다"며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외식업주를 응원하며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소셜 캠페인과 복지정책 홍보도 하며 대상자들이 복지정책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호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