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이 남자 한마디에 아이폰 출하량 수직상승…점유율 1위 삼성 코앞 추격

안서진 기자
입력 : 
2025-04-15 08:53:2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애플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해 1분기 출하량을 5790만대로 늘렸으며, 이는 지난해 대비 10% 증가한 수치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1분기 출하량과의 격차는 2.6%에서 0.9%포인트로 좁혀졌으나,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킨 삼성은 6060만대를 출하했다.

마켓 리포트에 따르면, 이번 출하량 증가는 실제 수요 증가가 아닌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비한 재고 비축의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출처=연합뉴스]
[사진출처=연합뉴스]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해 1분기 출하량을 크게 늘렸다. 출하량 증가로 점유율 1위 삼성과의 격차는 1%포인트 안으로 좁혀졌다.

14일(현지시간)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1분기 5790만대의 아이폰을 출하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 (5260만대) 대비 10% 늘어난 수치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606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19.9%를 기록하며 시장 1위 자리를 수성했다. 출하량은 전년동기대비 0.6% 증가했다.

IDC는 “수요 증가가 아닌,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애플의 출하량 증가로 삼성과 애플의 격차는 지난해 1분기 2.6%에서 0.9%포인트로 좁혀졌다.

애플을 포함해 미국의 여러 소비자 기술 기업들은 올 초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조치에 대비해 수개월 동안 미국 내 유통 채널에 재고를 쌓아왔다.

IDC는 “공급 급증은 비용 상승과 공급망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실제 소비자 수요를 기반으로 한 예상치보다 1분기 출하량이 부풀려졌다”고 분석했다.

출하량은 미국뿐만 아니라 이외 지역에서도 늘어났다. 이들 지역 또한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출품에 최대 145%까지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대해서는 상호관세 적용을 제외하기로 한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를 포함해 일부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만큼 스마트폰 관세가 완전히 면제되진 않을 전망이다. 다만 관세율은 당초 예상됐떤 145% 보다는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3억490만대로 지난해 1분기 3억30만대보다 1.5% 늘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