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속보] 산불로 ‘여의도 5배’ 과수원 피해…정부 “영농재개 긴급지원”

류영상 기자
입력 : 
2025-03-31 18:47:15
수정 : 
2025-03-31 18:47:4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불 피해를 입은 농업인들의 영농 활동 재개를 위해 농기계 무상 임대와 경영자금 상환 연기 등의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송미령 장관은 즉각적인 지원 정책 시행과 함께 피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기존 제도를 넘어서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로 경북과 경남에서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농식품부는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하기 위한 인력 배치와 임대 농기계 및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의성에서 시작된 ‘경북산불’이 영덕까지 번진 가운데 31일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한 과수원 사과나무가 불에 타거나 그을려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의성에서 시작된 ‘경북산불’이 영덕까지 번진 가운데 31일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한 과수원 사과나무가 불에 타거나 그을려 있다. [사진 =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불 피해 농업인의 영농 활동 재개를 위해 농기계 무상 임대, 농축산경영자금 상환 연기 등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방자치단체 피해 조사를 바탕으로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기존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 방안도 검토해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1일부터 30일까지 11개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경북에서는 여의도 면적의 5배에 해당하는 과수원 1490㏊(헥타르·1㏊는 1만㎡)가 소실됐고, 기타 작물은 56㏊가 사라졌다.

또 시설하우스 290동과 부대시설 958동, 농기계 2639대, 유통·가공시설 7곳을 못 쓰게 됐다.

이 밖에 축사 71동이 불타 돼지 2만4000마리와 닭 5만2000마리가 폐사했다.

경남에서는 재해보험 산정 기준으로 시설하우스 3건과 창고 1건, 양봉 100군 등의 피해가 집계됐다.

농식품부는 다음달 초 지자체 조사와 중앙합동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영농 재개를 위한 긴급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시·군 농기계 임대사업소와 지역농협 농기계은행을 통해 피해 농가에 농기계를 무상으로 임대한다.

부족한 농기계는 농기계 회사, 다른 지역 농기계 임대사업소를 통해 보충한다.

농업기술센터 안전전문관 200명과 지역농협 농기계은행 40명으로 농작업 대행반을 편성해 취약계층을 위한 농작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농기계 수리를 위한 봉사반 14개팀을 편성해 순회 점검과 무상 수리를 진행한다.

농식품부는 정부 보유 볍씨를 무상 공급하고 과수 묘목은 민간업체 보유분을 피해 농가에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축산 농가에는 사료구매자금(융자) 1천100억원을 피해 지역에 우선 배정한다. 농·축협은 사료를 농가당 최대 240포를 무상 공급한다.

가축 진료를 위해 동물의료지원반 46개를 편성했고 동물약품과 면역강화제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붕괴 위험 축사시설을 철거하기 위해 임차료와 축사 복구를 위한 축사시설 현대화 자금을 각각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재해보험금을 신속히 지급할 수 있도록 현장에 손해평가인력 596명을 배치했다. 경북 피해지역의 재해보험 가입률은 사과 농가는 100%이고 닭과 돼지 사육 농가는 각각 98.6%, 98.0%로 집계됐다.

또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추정 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키로 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