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김혜수 모델로 쓰면서 명품 사라더니”...발란, 구매·결제 중단 제 2의 티메프 사태 우려

이동인 기자
입력 : 
2025-03-30 09:00:3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판매대금 정산이 지연되어 논란이 일고 있는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사가 서비스를 중단하면서 발란의 자체 결제 서비스도 중지된 상태로, 고객들은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한 상황이다.

발란은 최근 몇 년 간의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로 기업가치가 급락하며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누적 영업손실 또한 724억원에 달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지난 28일 밤부터 상품 구매·결제가 모두 막혔다.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발란의 자체 결제서비스인 발란페이도 멈춘 상태다.

현재 결제창에는 ‘모든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하다’는 안내문만 뜬다.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대한 판매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논란이 됐다.

발란의 오프라인 매장. 연합뉴스
발란의 오프라인 매장. 연합뉴스

발란 측은 정산 오류가 발생해 정산 일정을 미뤘다면서 지난 28일까지 일정 재개 일정을 재공지하겠다고 밝혔으나 끝내 실행되지 않았다.

최형록 대표는 정산 지연에 대한 사과문을 내고 이번 주 중 입점사를 직접 만나 그간의 경위와 계획을 설명하겠다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정산 지연 사태가 발란이 겪고 있는 유동성 위기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2년 한때 기업가치 3000억원까지 인정받았으나 최근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 기업가치가 10분의 1인 300억원대로 추락했다. 2020∼2023년 4년간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지난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매출을 일으키려고 10% 초반대의 판매 수수료를 초과하는 20∼30% 할인쿠폰을 남발했고 결국 플랫폼의 총체적인 부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