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장인화 "조직간 R&D협력 초격차 기술로 위기 돌파"

정지성 기자
입력 : 
2025-03-28 17:48:47
수정 : 
2025-03-28 19:29:3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기술을 통해 사업 난제를 극복하고 수익을 증가시킬 것을 강조하며 초일류 소재 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는 연구개발 조직 간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인공지능을 적재적소에 적용하여 기술 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혁신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용 절감과 탄소 저감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포스코 기술전략회의 주재
철강·소재·신사업 주요기술
'초격차 혁신과제'로 선정
사진설명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사진)이 "초격차 기술로 사업별 난제를 극복하고 사업 수익 증대로 연결하자"고 강조했다.

28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장 회장은 지난 27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주재한 그룹 기술 전략회의에서 "대내외 위기를 돌파하고 초일류 소재 기업으로 도약하자"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취임 이후 기술 중요성을 강조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분야의 위기를 기술력을 통해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회의에는 주요 사업회사 대표, 이주태 미래전략본부장, 천성래 사업시너지본부장 등 기술 담당 임원이 참석했다.

장 회장은 지주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조직 간 시너지를 내는 R&D 협력체제를 구축해 기술 절대우위를 확보하자고 역설했다. 또 인공지능(AI)을 사무, 연구 등 적재적소에 적용해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룹 연구개발 협력체제 추진 방향도 논의했다. 철강, 에너지소재 등 핵심사업과 신사업 분야에서 혁신을 통해 미래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주요 기술들을 '초격차 그룹혁신과제'로 선정했다.

철강 분야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기술을 고도화하고, 미래 시장을 선점할 혁신제품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비용 절감 기술 개발, 경제적인 관점에서의 탄소 저감 기술 개발도 성과를 낼 계획이다. 에너지소재 부문에서는 아르헨티나, 광양 리튬 공장 등 최근 준공 후 가동을 시작한 이차전지소재 공정을 조기 안정화하고, 원가를 절감해 캐즘 극복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강화한다.

[정지성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