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 검토에 韓 비상 … 삼성 "상황 예의주시"

이상덕 기자
신유경 기자
입력 : 
2025-02-14 17:51:53
수정 : 
2025-02-14 21:01:1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을 검토하면서 한국 반도체 업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에 첨단 반도체 시설을 구축 중이며, 현재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새로운 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 투자확대 새 청구서 내밀듯
TSMC에는 인텔과 협업 요구
◆ 韓 덮친 4중 파고 긴급좌담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을 검토하기로 하면서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국 반도체 업계는 비상이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보조금 계약을 체결한 각 반도체 기업의 요구 사항을 평가하고 조정한 뒤 일부 조건에 대해 재협상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조 바이든 행정부와 개별 기업 간 협상에 따라 인텔 78억6500만달러(약 11조3677억원), TSMC 66억달러(약 9조5410억원), 마이크론 61억6500만달러(약 8조9044억원), 삼성전자 47억4500만달러(약 6조8544억원), SK하이닉스 4억5800만달러(약 6621억원) 등의 보조금을 미국에서 받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17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 이하 첨단 팹(시설)을 구축 중이다. 삼성전자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투자 조건을 확대하거나 초과 이익 시 미국 정부 몫을 반영하는 새로운 '청구서'를 들이밀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삼성전자와 30년간 총 370억달러(약 53조원) 규모의 미국 내 투자, 테일러 지역에 2개의 첨단 팹 건설 등 5가지 조건을 타결한 바 있다.

또 미국 반도체의 심장이라 불리는 인텔과의 협업을 요구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미국은 대만 TSMC를 상대로 인텔과 합작 생산 운영 법인을 설립해 미국 내 인텔 파운드리 공장을 업그레이드하는 조건을 제시한 상태다.

다만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미국의 조치가 삼성전자와 SK 등이 미국 정부와 계약을 체결한 것에 대한 원점 재검토 수준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상덕 기자 / 신유경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