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회장 고언
트럼프2기 출범 대응 촉구
씨름선수가 수영 경쟁 어려워
전략적 해외투자·글로벌 연대
소프트파워 체계적 판매 절실
해외시민 유입통해 내수 늘려야
트럼프2기 출범 대응 촉구
씨름선수가 수영 경쟁 어려워
전략적 해외투자·글로벌 연대
소프트파워 체계적 판매 절실
해외시민 유입통해 내수 늘려야

최 회장은 19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소비, 고용, 수출 등 각종 경제지표가 좋지 않다"며 "미국 주도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인공지능(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요소가 삼각파도로 다가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은 법인세를 비롯한 자국 내 세금을 내리고, 그 부족분을 관세로 해결하려 할 것"이라며 "관세(부과)에 따른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이 걱정"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세계 무역질서도 다자주의에서 양자주의로 바뀌는 변화를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에서 제품을 생산·수출해 돈을 버는 기존 수출주도형 모델은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최 회장의 한국 경제 진단이다.
최 회장은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대체 모델로 해외투자와 소프트파워를 제시했다. 그는 "우리는 경제 규모에 비해 해외에 전략적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내 한국의 투자 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투자 다각화를 강조했다. 이어 "통상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문화 상품들을 체계적으로 만들어 판매할 필요가 있다"며 "예컨대 한식 요리법, 먹는 방식, 부엌 구조, 요리사 훈련이 체계적으로 세계화된다면 우리가 얻을 부가가치는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전 세계 사람들이 한 달에 최소 4~5일 한식을 먹는다면, 그 효과는 삼성전자보다 클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해외시민 유입을 통한 내수 확대 필요성도 강조했다. 저출생·고령화를 이른 시일 안에 해소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최 회장은 "해외시민이 국내에서 일하고 세금을 내며 소비까지 늘리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인구 약 10%인 500만명의 해외인력 유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고급 두뇌의 해외 유출을 우려하며, 해외 고급 인재들이 한국에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글로벌 경제연대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세계 경제 룰(Rule)을 결정하는 나라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정도"라며 "한국 혼자 국제질서나 룰을 바꿀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본처럼 함께 연대할 파트너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슷한 문제점을 공유하면서 경제 규모를 키우고 국제적으로 목소리를 키울 파트너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예를 들면 한일경제협력체 신설이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에게 보상을 해주자는 아이디어도 냈다. 그는 "많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도록 체계적인 방법론을 갖춰 주면 사회적 비용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AI 패권전쟁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 AI 전략이 중요하다"며 "AI의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부문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AI를 활용해 제조공정 효율을 높이는 제조AI와 국가 차원 거대언어모델(LLM)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에 대한 에너지 조달과 관련해선 "에너지 97%를 수입하고 있는 한국이 AI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중앙집권식 그리드시스템이 아니라 분산 전원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승환 재계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