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野반대로 신규 원전 1기 줄인다는데 "엉터리 원전 축소, 에너지 대참사"

유준호 기자
입력 : 
2025-01-08 17:15:07
수정 : 
2025-01-08 19:45:4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가 야당의 반대에 따라 신규 원자력발전소 1기 건설을 취소하기로 하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전기본 수립 과정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국회의 보고 절차를 거부한 야당의 행태가 법적 정당성을 훼손했다고 지적하며, 이는 국가 에너지 정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정부와 야당은 오는 14일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어 전기본 조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전기본 참여 전문가 우려
14일 국회서 조정안 논의
정부가 야당의 반대에 밀려 신규 원자력발전소 1기 건설을 취소하는 방향으로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조정하면서 당초 계획 수립 과정에 참여했던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8일자 A1·6면 보도

1년의 숙의 과정과 수차례 시뮬레이션을 거쳐 만들어낸 안이 국회에 보고조차 되지 못하고 틀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보고 일정을 거부한 채 자신들 주장을 관철시킨 야당의 행태가 월권에 가깝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현행 전기사업법에는 전기본 수립 시 국회 '동의'가 아닌 '보고'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1차 전기본 수립 과정에는 총 91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2023년 7월부터 87차례 회의를 거쳐 실무안이 마련됐고 지난해 5월 최종 확정됐다. 이어 지난해 9월 공청회를 통해 전기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등의 절차까지 마쳤다.

전기본 실무안 준비에 참여한 A교수는 "국회가 보고를 안 받는다고 하니 정부가 고심 끝에 내놓은 고육책으로 해석된다"며 "상당히 공들여 만들었는데 마지막에 가서 이렇게 조정되는 것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전기본에 대한 절차적 정당성을 스스로 훼손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조정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야당이 법이 허용한 이상의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A교수는 "일단 보고한 뒤 정부가 국회 의견을 참고하라는 것이 법에 규정된 내용"이라며 "이런 식이면 국회 동의를 받으라는 것과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실무안 준비 과정에 참여했던 B교수 역시 "여당과 야당의 당론이 있고 여야 합의를 거쳐 조정된 것이라면 국민의 뜻이니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며 "하지만 일부 국회의원이 주장하는 의견을 가지고 원전 건설과 같은 국가 에너지 대계를 뒤흔드는 것은 좀처럼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여당에서도 야당의 반발로 원전 공급 계획을 수정한 정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이날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나라가 혼란한 시기에 정부가 중심을 잡아야 하는데 정치권 눈치를 보느라 엉터리로 원전 계획을 축소했다가는 국가적 에너지 대참사를 초래할 수 있다"며 "국가 에너지 정책의 근간이 되는 계획을 이처럼 주먹구구식으로 해서 되겠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와 야당은 오는 14일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산업부가 마련한 전기본 조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이 자리에서는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이 정부의 조정안에 대해 설명하고,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질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유준호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