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단독] 공장가동률 ‘15%’…국내 유일 배터리 기술 업체도 中 저가 앞에선 존폐 위기

한재범 기자
추동훈 기자
입력 : 
2024-12-08 17:51:36
수정 : 
2024-12-08 18:25:2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 유일의 음극재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이 중국의 저가 공세로 인해 생산량을 줄이면서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 산업이 위기에 직면했다.

이는 중국이 정부 지원과 낮은 인건비를 바탕으로 원가 경쟁력을 높여 글로벌 시장을 장악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국내 배터리 업계에서는 '요소수 대란'과 같은 공급망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계에서는 구매 보조금, 세액공제, 전력 요금 감면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은 국내산 음극재 제품을 구입할 경우 생산자나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의 원가 보전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중국발 저가물량 공세에
4년만에 45%p 하락해
생산이래 역대 최저 가동률
중국공세에 캐즘까지
배터리 밸류체인 붕괴 우려
[사진 = 포스코퓨처엠 ]
[사진 = 포스코퓨처엠 ]

중국발 저가공세에 한국 유일의 음극재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이 휘청이면서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 산업이 존폐 위기를 맞았다. 전기차 생태계의 한 축을 담당하는 배터리 소재기업이 무너지면 배터리 제조사와 전기차 회사까지 연쇄적으로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음극재 생산기업 포스코퓨처엠은 연산 4만5000t인 세종2 공장에서 현재 7500t 규모 생산라인만 가동 중이다. 2022년 60%에 달했던 가동률이 15% 수준으로 급락한 것이다. 2년여만에 45%포인트나 떨어졌다. 이는 해당 공장에서 음극재 생산을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 가동률이다.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인 음극재를 중국이 장악하면서다. 중국은 정부 지원과 낮은 인건비를 앞세워 원가 경쟁력을 높이며 시장을 싹쓸이하고 있다. 실제로 시장 점유율 기준으로 글로벌 10대 배터리 음극재 기업 중 한국기업은 포스코퓨처엠이 유일히다. 나머지 9곳은 전부 중국기업이다. 포스코퓨처엠의 위기가 한국 음극재 산업의 위기라고 평가받는 이유다.

사진설명

중국기업들은 예년 대비 반값 수준인 kg당 4~5달러에 음극재를 판매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크게 높였다. 심지어 한국 배터리 제조사들도 중국산 음극재를 대거 사용할 정도다.

업계에선 향후 한국 배터리 생태계를 구성하는 소재사들이 무너질 경우 ‘요소수 대란’과 같은 공급망 위기가 터질 것을 우려한다. 또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감소) 우려로 음극재 뿐 아니라 양극재를 생산하는 LG화학를 비롯한 배터리 핵심 소재기업 전반에 먹구름이 끼며 배터리 생태계의 한 축이 흔들리고 있다.

이때문에 배터리업계 생존을 위한 구매 보조금, 세액공제, 전력 요금 감면처럼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은 “경제 안보적 측면에서 공급망 생태계가 원활하게 가동하지 않으면 결국 외국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며 “국내산 음극재 제품을 구입할 경우 생산자 또는 소비자에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식의 원가 보전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