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플래시 양산에 돌입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낸드 플래시 적층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SK하이닉스는 321단 낸드 플래시를 내년 상반기에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21일 “내년 상반기부터 321단 4D 낸드 플래시 제품을 고객사에 공급한다”며 “2023년 6월 238단 4D 낸드 플래시를 양산했고 이번에 300단을 넘어서는 낸드도 가장 먼저 선보이며 기술 한계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낸드 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반도체로 데이터 저장 장치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 쓰인다. 낸드 플래시 한 개의 셀은 몇 개의 정보(비트 단위)를 저장하느냐에 따라 SLC(1개)-MLC(2개)-TLC(3개)-QLC(4개)-PLC(5개) 등으로 규격이 나뉘는데 각 셀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데이터 용량을 늘리는 구조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이번에 양산에 돌입한 321단 1Tb(테라비트) TLC(트리플레벨셀) 4D 낸드 제품은 기존 세대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12%, 읽기 성능은 13% 향상됐다. 데이터 읽기 전력 효율도 10% 이상 높아졌다. SK하이닉스는 321단 낸드 플래시로 인공지능(AI)향 저전력 고성능 신규 시장에도 적극 대응해 활용 범위를 넓혀 갈 계획이다.
한편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하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적층 수를 앞다퉈 늘리며 낸드 플래시 경쟁력을 키우는 중이다. 삼성전자가 지난 4월 양산을 시작한 1Tb TLC 9세대 V낸드는 280∼290단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기준 전 세계 낸드 플래시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6.9%,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가 22.1%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