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 단체가 총파업이나 집단 사직 등 즉각적인 집단행동에 나서는 대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은 13일 박단 회장을 제외한 집행부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의결했다. 대전협은 공지문을 통해 “지난 12일 진행된 온라인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제27기 대한전공의협의회 부회장, 이사, 국원 전원 사퇴 및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에 대한 건’에 대해 참석한 194단위 중 찬성 175단위, 기권 19단위로 가결됐다”며 비대위 전환 소식을 알렸다.
대전협은 지난 12일 오후 9시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는 정부 결정을 저지하기 위한 단체행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튿날 새벽까지 토론을 벌였다. 다만 어떤 결론에 도달했는지와 향후 집단행동 계획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간 대전협은 여러 차례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3일까지 전국의 수련병원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140여개 수련병원 1만여명의 회원 중 88.2%가 ‘의대 증원 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대전협 임시총회에서도 압도적인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하지만 막상 총회에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전공의들은 지난 2020년, 의대 증원과 지역 공공의대 추진 등에 반발하며 집단 휴업을 벌인 바 있지만 이번에는 단체활동 여부를 결론 내지 못했다.

이를 두고 의료계에서는 정부가 의사들 집단행동에 법과 원칙에 따른 ‘강경 대응’ 기조를 밝힌 만큼, 당장 파업에 돌입하는 게 무리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보건복지부는 의사 집단행동에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면서 업무개시명령에 불응할 경우 의사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의협)에는 ‘집단행동 및 집단행동 교사 금지 명령’을 내렸다.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퇴사하는 상황을 사전에 막기 위해 각 수련병원에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도 내렸다.
국민 사이에서도 의대 증원 찬성 여론이 크다. 보건의료노조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국민여론조사에 따르면 의대 증원에 찬성하는 국민이 89.3%를 차지했다. 이 조사에서 ‘의협이 진료 거부 또는 집단 휴업에 나서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도 85.6%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