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원전 금지 40년만에 … 덴마크, SMR 도입 검토

김제관 기자
입력 : 
2025-05-15 17:51:42
수정 : 
2025-05-15 23:09:0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덴마크가 지난 40년간의 원자력발전 금지 정책을 재검토하며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같은 차세대 원자력 기술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르스 오고르 에너지·기후 장관은 SMR의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계획이며, 덴마크 사회에 미치는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덴마크는 유럽에서 신재생에너지가 가장 풍부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원자력발전 정책을 변화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른 유럽 국가들의 경향과 맞물려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AI시대 맞아 전력수요 폭증
재생에너지만으로 충당 한계
英·佛 유럽 '원전 유턴'도 영향
사진설명
지난 40년간 원자력발전 금지 정책을 고수해온 덴마크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을 도입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많은 전력이 필요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늘어나고 있는 데다 친환경 전력 비중이 높은 스페인에서 최근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면서 유럽 전역에서 원자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14일(현지시간)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기후 장관은 덴마크 일간 폴리티켄 인터뷰에서 1985년 핵발전소 건설을 금지한 이후 처음으로 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지닌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고르 장관은 "현재 SMR과 같은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며 "하지만 잠재력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이 기술을 실현하는 것이 덴마크 사회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덴마크 전 총리도 14일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터무니없는 원자력 금지령 해제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풍력이나 태양광은 바람과 햇빛만 있다면 좋지만 화석연료가 아닌 기저부하가 있어야 한다"며 "원자력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유럽에서 재생에너지가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인 덴마크가 원자력발전 금지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는 것은 중대한 정책 전환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평가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덴마크 전력의 80% 이상이 풍력·바이오연료·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된다. 세계 최대 해상풍력 기업인 외르스테드의 본거지도 덴마크다.

덴마크에 앞서 다른 유럽 국가들도 기존 탈원전 정책에서 '유턴'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영국·프랑스·벨기에는 탈탄소화를 위한 저탄소 전기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기존 원자로 수명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프랑스는 노후화된 원자력발전소를 재건하기 위해 원자로 6개를 더 건설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에는 플라망빌 3호 원자로를 전력망에 연결했다. 이는 25년 만에 원자력발전소가 전력망에 처음 추가된 것이다. 영국은 잉글랜드 서머싯에 힌클리 포인트C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다.

[김제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