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대서 올해 5% 안팎 성장률 목표 공식 제시
트럼프發 관세전쟁 고조속
기술자립·내수진작에 방점
샤오미 회장 등 기업인 참석
"중국 기술 현대화 힘보탤것"
R&D 예산 전년대비 10% 쑥
물가 목표 2%로 하향 조정
소비 진작 위해 돈풀기 시사
트럼프發 관세전쟁 고조속
기술자립·내수진작에 방점
샤오미 회장 등 기업인 참석
"중국 기술 현대화 힘보탤것"
R&D 예산 전년대비 10% 쑥
물가 목표 2%로 하향 조정
소비 진작 위해 돈풀기 시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한국 국회 격) 업무보고에서 "엄중한 정세에도 지난해에는 안정적으로 경제를 운영했다"며 올해 성장 목표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는 2023년 이후 3년째 동일한 수치이자 세계은행(WB·4.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4.5%) 국제통화기금(IMF·4.6%) 등 해외 금융기관 전망치를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리 총리는 이에 대해 "국내외 상황과 다양한 요인 등을 고려해 설정했다"며 "5% 안팎이라는 목표는 고용 안정, 위험 방지, 민생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올해 초 '가성비 인공지능(AI)' 딥시크가 등장한 이후 관심을 끈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은 전년보다 10.1% 늘어난 3981억위안(약 80조원)으로 잡았다. 2023년(3335억위안)과 지난해(3613억위안)에 전년보다 8.3%씩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올해에는 R&D 예산을 더욱 늘린 것이다. 미국과 벌이는 기술경쟁과 무역분쟁이 점차 고조되자 기술 자립에 총력전을 펼치는 모양새다.
이와 관련해 리 총리는 "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의 통합 개발을 촉진하고 신형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겠다"며 "첨단 제조업을 확장·강화하고 미래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의 전략적 과학기술 세력 배치를 최적화하고 과학 연구기관의 개혁을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AI+ 행동'의 지속적인 추진을 강조했다. AI 기반 스마트폰과 PC, 로봇 등 차세대 단말기를 적극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이번 양회(전인대·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는 AI 등 첨단산업에 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개막 전부터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들이 잇달아 첨단산업에 관한 의견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전인대 대표인 샤오미 창업자 레이쥔 회장은 전날 △AI 기반의 자율주행 양산 가속화 △스마트카 산업 생태계 발전 등 제안 5건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레이 회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샤오미는 중국 제조업 발전의 수혜자로서 과학·기술 혁신과 첨단화의 길을 갈 것"이라며 "중국식 현대화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중국 가전기업 하이얼의 저우윈제 회장과 TCL의 리둥성 회장도 전인대 대표로 참석했다. 저우 회장은 "하이얼은 스마트홈과 산업 인터넷, 헬스케어라는 세 갈래 경주로에서 제조업 강국 건설에 힘을 보탤 것"이라며 "AI는 중국 기업의 시대적 기회"라고 평가했다. 리 회장은 AI 위조·사기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