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美 무역적자 역대 최대 … 통상 압박 거세지나

최현재 기자
입력 : 
2025-02-06 17:34:41
수정 : 
2025-02-06 18:51:1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미국의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치인 9184억달러를 기록하며, 수입은 전년 대비 6.6% 증가했다.

특히, 강달러는 해외 수입품에 대한 구매력을 확대시켜 소비를 늘렸으나, 미국 제조업체들의 수출은 감소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를 문제로 삼고 대미 흑자국들과의 무역 마찰이 격화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작년 상품교역 기준 1.2조달러
적자규모 중국·EU·멕시코 순
사진설명
지난해 달러화 강세와 소비 호조로 미국의 수입이 수출보다 크게 늘어나면서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적자를 시정하겠다고 벼르고 있는 만큼 중국과 유럽연합(EU) 등 대미 흑자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가 더욱 날카로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5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무역수지(상품+서비스) 적자는 전년 대비 17% 증가한 9184억달러(약 1330조원)로 나타났다. 특히 상품 수지 적자는 1조2000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상 최대 상품 적자를 낸 요인은 수입 규모다. 지난해 미국의 수입액은 4조1100억달러로 전년 대비 6.6% 늘어났다. 같은 기간 수출액이 3조1916억달러로 3.9%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수입액 증가폭에 미치지 못했다. 달러 강세로 해외 수입품에 대한 구매력이 확대되고 미국 경제 호조로 소비 자체도 늘어난 것이 적자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반대로 통화 약세를 겪은 타국은 미국산 수입 여력이 줄어들면서 수출 증가폭이 수입액만큼 늘어나지 못한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타국은 미국 제품 구매에 더 많은 비용이 들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 제조업체들은 강달러의 직격탄을 맞았다. 미국의 자동차·부품·엔진 부문 수출액은 되레 줄었다. 전년 대비 108억달러(약 15조6000억원) 감소한 것이다.

교역 국가별로 보면 상품 무역 기준 미국의 최대 적자국은 중국(2954억달러)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EU(2356억달러) 멕시코(1718억달러) 베트남(1235억달러) 아일랜드(867억달러) 독일(848억달러) 대만(739억달러) 일본(685억달러) 순으로 적자 규모가 컸다. 한국은 660억달러를 기록해 9위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를 문제 삼고 있는 만큼 대미 흑자를 올리고 있는 국가들과 미국 간 무역 마찰은 더욱 격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미국 코넬대 무역정책학 교수는 "무역적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면전에 '적색 깃발'을 흔드는 것과 같다"며 "미국 무역 파트너들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그의 의지를 더 심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