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트럼프에 자세 낮추는 인도 자국민 1만8천명 데려온다

최현재 기자
입력 : 
2025-01-22 17:48:34
수정 : 
2025-01-22 20:41:2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반이민' 정책을 본격화하자 인도 정부는 미국 내 불법 체류 인원 송환에 나서기로 했다.

인도는 불법 이민자를 자국으로 송환하는 절차에 협력하며, 이를 통해 미국으로의 합법적 체류 보장을 요구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에 체류 중인 인도인 불법 이민자는 약 22만명으로 추정되며, 이들 대부분은 젊은 남성들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불법체류 인도인 22만명
관세폭탄 피하려 선제 조치
합법적 체류 보장 요구 계획
◆ 트럼프 시대 ◆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반이민' 정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자 인도 정부가 미국 내 불법 체류 중인 자국민 송환에 나서기로 했다.

관세 부과 위협으로 주요 국가들과 '무역전쟁'에 나설 태세인 트럼프 행정부를 달래는 한편 인도인의 미국 내 합법적인 체류를 보장받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정부가 미국에서 추방당할 예정인 불법 이민자 1만8000명의 신원을 확인한 뒤 본국으로 송환하는 절차에 협력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송환 예정인 불법 체류자 대부분은 인도 서부 펀자브주와 구자라트주 출신의 젊은이들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고 있는 만큼 자국으로 송환될 인도인은 더 늘어날 수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인도인 불법 이민자 약 22만명이 미국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도가 미국 내 불법 이민자 추방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과 무관하지 않다. 불법 이민 문제를 지렛대로 삼아 자국에 대한 '통상 압박'에 나설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포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모든 물품에 관세 25%를 부과하고, 중국에도 관세 10%를 매기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은 상태다. 하시 팬트 킹스칼리지런던 국제관계학 교수는 "불법 이민 문제는 인도가 트럼프 행정부에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분야"라고 설명했다.

대신 인도는 협력의 대가로 자국민의 합법적인 체류를 보장해줄 것을 미국에 요구할 계획이다. 학생 비자(F-1)나 외국인 전문직 종사자를 위한 H-1B 비자 등을 통한 미국 체류는 보호해 달라는 취지다. 국토안보부에 따르면 2023년 발급된 H-1B 비자 38만6000개 가운데 약 75%가 인도인에게 돌아갔다.

란디르 자이스왈 인도 외무부 대변인은 "인도와 미국 양측은 불법 이민을 억제하기 위한 절차에 참여하고 있다"며 "이는 인도인이 미국에 합법적으로 이주할 수 있는 더 많은 길을 만들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