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엔비디아 대항마’ 텐스토렌트, 일본서 AI 반도체 설계 개시

신윤재 기자
입력 : 
2024-12-11 14:42:0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캐나다 AI 스타트업 텐스토렌트가 일본에서 첨단 반도체 설계 수탁 사업을 시작하며, 일본의 반도체 드림팀 라피더스와의 협력 및 일본 내 거점 마련을 통해 일본인 기술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텐스토렌트는 AI칩 시장에서 엔비디아에 도전하는 기업으로, 창업자인 짐 켈러는 애플과 AMD의 고성능 반도체 설계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아마존과 한국의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과 로봇 제어 등 일본이 강점을 가진 제조업 분야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최첨단 나노 반도체 설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연내 도쿄에 거점 마련
내년 설계 기술자 40명 모집
라피더스에 양산 위탁도 검토
짐 켈러 텐스토렌트 최고경영자(CEO). [연합뉴스]
짐 켈러 텐스토렌트 최고경영자(CEO). [연합뉴스]

캐나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텐스토렌트가 일본에서 첨단 반도체 설계 수탁 사업을 시작한다.

11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텐스토렌트가 연내 도쿄에 거점을 마련하고 내년까지 40명가량의 반도체 설계 기술자를 모집, 조기에 100명 규모로 늘릴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텐스토렌트는 또 AI 반도체 분야에서 이미 협력하고 있는 일본의 반도체 드림팀 라피더스에 생산을 위탁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닛케이는 “자율주행과 로봇 제어 등 일본이 강점을 가진 제조업 수요를 끌어들여 최첨단 3나노(㎚·10억분의 1m)나 2나노 반도체 설계 수탁을 상정한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라피더스는 새로운 고객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짐 켈러 텐스토렌트 최고경영자(CEO)는 “라피더스와 협업으로 일본에서 더욱 우위에서 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닛케이는 텐스토렌트가 일본 내에 거점을 두면서 일본인 기술자가 첨단 반도체에 관계할 기회가 증가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텐스토렌트는 2016년 반도체 설계 전문(팹리스) 스타트업으로 출발했으며, AI칩 시장에서 엔비디아 아성에 도전하는 업체다. 2016년 설립돼 캐나다에 본사를 두고 미국을 비롯해 영국,일본,인도 등지에서 지사를 운영 중이다.

텐스토렌트 창업자이자 CEO인 켈러는 애플 아이폰에 쓰이는 ‘A칩’, AMD의 PC용 CPU ‘라이젠’ 등 고성능 반도체 설계를 주도해 반도체 설계 분야 전설로 불린다. 최근 아마존 제프 베조스로부터 6억9300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자동차가 최근 텐스토렌트의 7억 달러(약 9천905억원) 규모의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