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획·연재

반도체·디스플레이·AI… 경영 현장 혁신사례 공유

이용익 기자
입력 : 
2025-01-14 16:05:4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국대는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미래 하이테크 산업과 최신 경영학을 융합한 첨단비즈니스 CEO과정을 3월부터 2기 과정으로 개설하고 수강생을 모집한다.

이번 과정에서는 반도체, AI, 미래자동차 등 다양한 첨단 기술 관련 주제로 실무 중심의 교육이 제공되며, 저명한 교수진과 업계 전문가들이 강의를 맡는다.

단국대는 수강생의 산업 이해도와 협력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인 프로그램과 포럼을 개최하며, 소부장 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단국대 첨단비즈니스 최고경영자과정
단국대 전경
단국대 전경
경기도 유일의 미래 하이테크 산업과 최신 경영학 분야를 융합한 단국대 첨단비즈니스 최고경영자(CEO)과정이 성공적인 1기 과정에 이어 오는 3월부터 2기 과정을 개설하고 수강생 모집에 나선다. 강의는 오는 3월 5일부터 7월 16일까지 죽전캠퍼스 미디어센터 507호에서 매주 수요일 진행된다. 입학원서는 오는 2월 5일까지 접수하며 이메일 또는 방문 접수가 가능하다.

첨단비즈니스 CEO과정은 40여 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AI, 미래자동차, 마케팅, 조직혁신 등 첨단기술산업 최고경영자가 기업을 혁신하고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의 생생하면서도 복합적인 지식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첨단산업 유관기업 임원급 이상 경영자, 지식 기반 신산업 분야 전문가, 기술 중심 스타트업 경영자, 첨단산업 지원기관 간부급 이상 관리자, 기타 이에 준하는 자격을 갖춘 자는 지원이 가능하다. 교육과정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동향과 기술혁신, 2차전지·미래자동차 시장 동향과 혁신사례, 인공지능(AI) 기술과 응용, 기술경영과 기술자산 관리, 마케팅과 기술인력 관리, 회계와 금융, 인적자산 관리와 인적네트워크 구축, 혁신기업의 법률 리스크 관리, 디지털 정보 보안,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현장 탐방 등 미래 신산업 전반의 핵심 내용을 아우른다.

첨단비즈니스 CEO과정은 특히 첨단산업 소재·부품·장비기업의 경영진이 혁신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김정호(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김현재(연세대 전자공학과 교수,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장) △김현중(서울대 교수, 접착과학전공) △나경환(단국대 석좌교수, 한국과학기술심의위원) △심제이(International Semiconductor Group 대표) △이동철(하나마이크론 대표이사) △이원식(전 삼성디스플레이 개발실장) △이재원(단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정연승(단국대 경영대학원장, 한국유통학회장) △정은승(전 삼성파운드리 사업부장) △정태성(전 SK하이닉스 사장) △주영창(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미국재료학회 수석부회장) △지영조(전 현대자동차 이노베이션담당 사장) △최용근(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한관영(단국대 융합반도체공학과 교수) 등 한국의 첨단산업 경쟁력을 글로벌 수준으로 견인한 각 분야의 CEO, 기업 상장 전문가, 기업 최고기술책임자(CTO) 등 저명 인사들이 출강한다.

단국대는 교육과정 제공 외에도 수강생의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이해와 협력을 높이기 위해 '원우 기업 소개 프로그램'과 '기술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기술 분야의 협력과 연대를 한층 높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기술력을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용익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