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실패작 대왕고래’ 책임자 성과상여금만 2년간 7500만원 수령?

권민선 기자
입력 : 
2025-10-20 15:09:3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300억원이 투입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책임자들이 고액의 성과상여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곽원준 부사장은 지난해 약 4214만원의 성과 상여금을 포함해 2년간 약 7500만원을 수령했으며, 동해탐사팀과 시추팀 직원들도 기본 연봉의 최소 300%에서 최대 427%의 성과상여금을 지급받았다.

권향엽 의원은 석유공사가 손실을 낳은 프로젝트에 대해 성과로 포장하며 상여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지 자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윤석열 정부의 ‘공식 실패’ 사업
책임자 외 직원들도 최대 3600만원 받아
지난해 12월 20일 대왕고래 유망구조서 작업 준비하는 웨스트 카펠라호. [사진 출처 = 한국석유공사]
지난해 12월 20일 대왕고래 유망구조서 작업 준비하는 웨스트 카펠라호. [사진 출처 = 한국석유공사]

1300억원 넘는 예산이 투입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 책임자들이 고액의 성과상여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권향엽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프로젝트를 총괄했던 곽원준 부사장은 지난해 성과 상여금으로 약 4214만원을 받았다. 이는 곽 부사장 기본 연봉 월액의 427%에 해당한다.

곽 부사장은 올해도 약 3285만원의 성과 상여금을 받아 지난 2년간 받은 금액만 약 7500만원에 달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발표하며 시작됐다. 당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대 매장 가능성을 140억 배럴을 얘기하고 있는데 현재 가치를 따져보면 삼성(전자) 총 시총의 5배 정도”라며 낙관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윤 대통령 오른쪽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윤 대통령 오른쪽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하지만 석유공사가 지난달 21일 대왕고래 사업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확인했다”며 “추가적인 탐사를 추진할 계획이 없다”라고 밝히면서 해당 프로젝트는 공식적으로 실패한 사업으로 남았다.

앞서 언급한 곽 부사장만 뿐만 아니라 대왕고래 사업에 관여한 동해탐사팀과 시추팀 직원들 역시 꽤 높은 수준의 성과 상여금을 받아갔다. 동해탐사팀은 프로젝트 용역 업체로 지정됐던 ‘액트지오’ 선정에 직접 관여했던 부서이며, 액트지오는 석유공사가 용역비 약 40억원을 지급한 1인기업이다.

동해탐사팀과 시추팀은 기본 연봉 월액의 최소 300%부터 최대 427%를 지급받았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성과상여금을 받은 인물은 동해탐사팀의 책임위원인 주 모 씨로, 약 3600만원을 챙겼다. 이어 구모 팀장이 3000여만원을, 황모 팀장이 2600여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향엽 의원은 “석유공사가 천문학적 세금 손실을 낸 ‘대왕고래’를 두고 성과라고 포장하며 고액의 성과상여금을 지급한다면, 납득할 국민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라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지 성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