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연봉 2억 줄테니 삼전 퇴사해”…삼성전자·SK하닉 인재 모시기 나선 이 회사

김민주 기자
입력 : 
2025-10-20 10:29:40
수정 : 
2025-10-20 13:28:2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로벌 3위 메모리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한국인 엔지니어 채용에 나서고 있으며, 대만 타이중 지역의 최대 D램 생산기지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출신 인재를 모집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현지 헤드헌터를 통해 HBM과 패키징 관련 직무를 제안하며, 연봉은 최대 2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글로벌 팹의 인원 충원과 HBM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국 업체의 엔지니어를 활용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미국 마이크론 본사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 마이크론 본사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글로벌 3위 메모리반도체 기업 미국 마이크론이 최근 한국인 엔지니어 모시기에 적극 나서 눈길을 끈다.

20일 산업계에 따르면 현재 마이크론은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타이중 지역의 팹(공장)에서 일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해당 공장은 마이크론의 최대 디램(D램) 생산기지로, 고대역폭메모리(HBM)도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채용 방식은 현지 헤드헌터가 링크드인에 게재된 엔지니어들의 이력·프로필을 보고 접촉해 포지션을 제안하는 식이다. HBM과 패키징 관련 직무가 다수로, 일부 엔지니어에겐 임원급 직무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이 제안한 임직원 연봉은 회사 내부 직급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업계에선 최대 2억원대(보너스 등 포함)로 추정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반도체 엔지니어뿐 아니라 한국에 지사를 둔 외국계 반도체 장비업체, 디스플레이 업계 직원들에게도 이직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마이크론은 지난해 말 대만 타이중에서 일할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의 경력 면접을 경기도 판교 일대 호텔에서 실시했다. 오퍼 조건으로는 연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원천징수 기준 10∼20% 임금 인상, 거주비 및 비자 프로세스 지원 등을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또 비슷한 시기에 국내 주요 대학에서 ‘당일 채용(사전 지원자 대상)’이라는 파격 조건까지 걸고 채용 설명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올해 초에는 일본 히로시마 공장에서 일할 한국 엔지니어를 모집했으며, 미국과 싱가포르 공장에서 근무할 직원도 채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현재 증설 중인 글로벌 거점 팹의 인원 충원과 D램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 업체들의 엔지니어를 통해 HBM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마이크론은 SK하이닉스에 이은 두 번째 ‘인공지능(AI) 큰손’인 엔비디아에 HBM3E(5세대)를 공급하고 있다. 최근 마이크론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비교해 부족한 캐파(생산능력) 확대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현재 대만은 물론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에 HBM을 포함한 D램 생산 거점 구축 및 증설에 나선 상태다. 수익성이 높은 HBM이 회사의 주요 매출원으로 부상한 데다 시장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만큼, 전사 역량을 HBM에 집중시키는 모습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