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박형준·김동연·강기정·김영록
김관영·오영훈·김태흠 등 8명 철회 요구
유정복 등 나머지 9명은 소극적 입장
소극적 대응 단체장에 사퇴 등 비판 거세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전국 17개 시도 단체장 중 8명이 우려를 표명하며 철회를 요구했지만, 9명은 침묵하거나 소극적인 입장을 취했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동연 경기도지사, 박형준 부산시장,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관영 전북도지사, 오영훈 제주도지사,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철회·해제를 촉구했다. 이 중 여당인 국민의 힘 소속은 오세훈 시장과 박형준 시장, 김태흠 지사 단 3명이다.
오세훈 시장은 자신의 SNS에 “계엄에 반대합니다. 계엄은 철회되어야 한다”면서 “시장으로서 시민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우리 국민이 피와 땀으로 지켜온 민주주의에 결코 후퇴가 있어서는 안 된다”면서 “비상계엄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대한민국은 정녕 1979년으로 회귀하는가. 대한민국을 45년 전으로 돌린 폭거, 비상계엄 해제하라”면서 “대통령의 반헌법적 조치, 국민이 막을 것이다. 군은 어떠한 경우에도 국민 편에 있어야 한다. 분연히 맞서자”고 SNS에 적었다.
반면 유정복 인천시장과 이장우 대전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박완수 경남도지사, 홍준표 대구시장, 김진태 강원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 최민호 세종시장, 김두겸 울산시장은 계엄령 선포에 따른 긴급회의 등을 주재하면서도 계엄 선포에 대한 직접적인 입장 표명은 자제하거나 소극적으로 일관해 뒷말을 낳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시민 생업과 안전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고, 이장우 시장과 김영환 지사는 상황 점검을 강조했다.
홍준표 시장은 대통령 결정을 비판했지만 계엄 해제를 직접 요구하지 않았고, 김진태 지사는 긴급회의만 열었다. 박완수 지사도 긴급회의를 열었으나 분야별 대책 마련 지시만 내렸다.
울산시는 행정안전부 지시에 따라 청사 출입구마다 청원경찰을 배치해 일반인 출입을 통제했다.
국민의힘 시도지사들은 4일 오전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국민께 사과하고 향후 국정안정과 쇄신을 위한 조치에 대해서도 분명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비상계엄 선포 해제를 국회가 의결하고, 윤 대통령이 이를 수용한 뒤에 낸 입장이어서 큰 울림을 주지 못하고 있다.
서슬 퍼렇던 비상계엄 선포 직후 침묵 또는 소극적으로 대처한 단체장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는 이유다.
세종시민들은 “비상계엄으로 세종시민이 불안해하던 시점에 최민호 시장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 “무언의 찬동을 한 것이 아니냐” “다음 시장을 뽑을 때는 비상계엄에 반대 성명을 발표할 줄 아는 시장을 뽑자”며 최 시장을 압박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유정복 인천시장은 윤 대통령 계엄 선포에 대해 ‘야당의 폭거에 대한 조치’라면서 동조하는 인식을 보였다”면서 “인천시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 즉각 사퇴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