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서울 아파트시장 '큰손' 30대에서 다시 40대로

김유신 기자
입력 : 
2025-05-04 16:40:11
수정 : 
2025-05-04 20:33:5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에서 3월 아파트 매입 비중이 40대가 33.8%로 30대(32.5%)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출 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에서는 40대의 매입 비중이 각각 42.8%와 44.5%에 달해 30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앞으로 시행될 DSR 3단계 규제에 따라 40대가 부동산 시장을 계속해서 주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토허제 풀렸던 3월 매입
40대 33.8%, 30대 추월
강남·서초 비중은 40%
사진설명
서울시가 강남 국제교류복합지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지난 3월 4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30대를 추월한 것으로 확인됐다. 높은 집값과 대출 규제 강화 영향으로 앞으로 40대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4일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연령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3월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 9349건 중 40대 비중은 33.8%(3158건)로 연령대 중 1위를 차지했다. 30대는 32.5%(3041건)였다.

서울 아파트 매입은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9년부터 줄곧 30대가 주도해왔다. 2019년 30대 매수 비중은 평균 28.8%로 40대(28.7%)를 근소하게 앞섰다. 2020년엔 30대 비중이 33.5%로 40대(27.5%)와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이 31.9%로 40대(31.7%)와 큰 차이가 없었다.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으로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자금력을 갖춘 40대가 매수 주체로 떠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는 30대 매수 비중이 더 높았다. 하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뒤 3월부터는 40대가 역전했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의 3월 40대 매입 비중은 각각 42.8%와 44.5%로 30대(19.5%·21.1%)를 압도했다. 강남권 아파트는 가격이 비싸 사회 초년생인 30대가 접근하기 어려운 데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갭투자가 용이해지자 40대가 집중적으로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오는 7월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이 예고돼 있는 만큼 40대가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는 양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30대의 부동산 매입 열풍은 저금리를 틈탄 유행이고, 재력을 갖춘 40대의 매입 비중이 높아진 건 시장 정상화 과정"이라며 "대선 결과에 따라 청년층과 신혼부부 등에 대한 정책 자금 지원 등이 확대되면 다시 20·30대 매입 비중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유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