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尹대통령 측, ‘중국 타국 선거 개입설’ 꺼내…신원식은 즉답 피했다

이상현 기자
입력 : 
2025-02-11 19:30:1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측은 11일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심판 증인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에게 중국의 선거 개입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으나, 신 실장은 직접적인 답변을 피했다.

차기환 변호사는 중국의 정치공작 및 심리전 등이 한국에 미칠 위험에 대해 언급하며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신 실장은 이에 대해 확답을 하지 않았다.

신 실장은 중국과 관련된 일련의 질문들에 대해 정보가 부족하여 단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없다고 말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7차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헌법재판소,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7차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헌법재판소,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측이 11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에게 “중국이 타국 정치에 개입하는 사례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느냐”고 물으며 ‘선거 개입설’을 꺼냈다. 신 실장은 이에 직접적인 답변을 피했다.

윤 대통령 측 차기환 변호사는 이날 헌재에서 이뤄진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서 신 실장에게 “중국이 다른 나라 선거에 개입하는 게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며 “중국이 타국 선거에 개입하는 정치공작, 가짜뉴스를 이용한 인지전·여론전 또는 사이버전 등을 종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알고 있나”라고 물었다.

윤 대통령 측은 그간 전통적 전쟁 형태에 각종 정치공작과 심리전 등을 더한 ‘하이브리드 전쟁’이 새로운 국가 안보 위협으로 떠올랐다고 주장해왔다. 이날 윤 대통령 대리인은 중국을 직접 거론하며 신 실장에게 이같은 질문을 던졌다.

신 실장은 이에 “그런 보도를 본 적은 있다”고 답하며 즉답을 피했다.

차 변호사가 “(중국이) 한국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선거 개입 의도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죠”라고 재차 물었으나, 신 실장은 “가정을 전제로 답변하지 않겠다”며 재차 확답을 피했다.

차 변호사는 국내 한 방송사 계열 기업을 거론하며 “중국 최대 IT 기업 텐센트가 1000억원을 투자한 것을 아느냐”고 묻었을 때도 신 실장은 “정확히 확인한 바 없다”고 답했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하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하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차 변호사가 이어 “중국 정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업이 투자하게 되면 결국 우리나라 미디어나 언론사 등이 심리전, 여론전에 활용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부 당국은 경계심을 갖고 지켜봐야 하지 않나”라고 묻자 신 실장은 거듭 “그 문제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한 바가 없다”며 말을 아꼈다.

신 실장은 이어진 중국 관련 질문에도 확답은 피했다.

차 변호사는 작년 11월 관광객이 국가정보원 청사를 허락 없이 촬영하다 적발된 것과 같은 해 12월 중국인이 제주공항을 드론으로 불법 촬영한 사례를 언급하며 “중국 정부가 민간인을 활용해 하는 하이브리드전으로 평가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여기에도 신 실장은 “단정적으로 평가하기엔 정보가 부족하다”고 답변했다.

차 변호사가 이어 “문재인 정부 초기에 원전 사업을 철수하고 태양광 사업을 했는데, 재생 에너지 붐이 불었다는 말이 있지만, 국가 에너지 산업 근간인 원전 생태계를 황폐화시키고 태양광을 일으켜서 결국 돈 버는 건 중국 기업이라는 말도 있었다”라고 질의하자 신 실장은 “그 분야는 제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에 주관적인 생각을 말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차 변호사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대한민국을 속방으로 표현한 적 있다고 언급하며 “그런 정도의 중국이라면 한국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선거 개입을 시도할 수 있나 생각하는지”를 묻는 데 대해서도 신 실장은 “그건 가정을 전제로(한 질문)”라며 “외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답변하지 않겠다”고 일축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