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자24시

[기자24시] 명품업체 발란 '자승자박'

김효혜 기자
입력 : 
2025-03-30 17:30:44
수정 : 
2025-03-30 17:33: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급변하는 소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역마진을 초래하는 판매전략을 펼친 발란은 최근 거래액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며 부정적인 소비 인식이 악재로 작용했다.

반면, 자금 상황 개선에 집중한 다른 플랫폼들은 여전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온라인 1위 명품 플랫폼 발란이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다. 기업회생절차 돌입이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라는 말도 나온다. '제2의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한때 기업가치가 3000억원이 넘었던 발란이 이 같은 위기에 처한 이유는 무엇일까.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내실 다지기'에 소홀했던 탓이다.

최근 2년간 전 세계 명품시장은 줄곧 내리막이었다. 온라인으로 명품을 소비하는 주 수요층인 20·30대의 '명품 소비'가 현저히 줄어든 까닭이다. 코로나19 시기 명품을 사들이던 20·30대는 엔데믹 이후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렸다. 운동도 해야 하고 여행도 가야 하니 돈 쓸 데가 한두 군데가 아니다.

발란을 흥하게 했던 명품 소비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점차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이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25 고가(명품) 의류 구매 및 패러디 영상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가(명품) 의류는 하나쯤 있을 법하다'는 응답이 2022년 대비 5.9%포인트 낮아진 64.6%를 기록했다. '사치에 불과하다'는 답변은 같은 기간 6.4%포인트 늘어난 40%가 됐다.

이 같은 인식 변화는 거래액 급감으로 이어졌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가 분석한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월간 신용카드·체크카드 결제 추정 금액은 2022년 543억원에 달했으나 최근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도 명품 수요 하락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이런 가운데 발란은 변화에 쉬이 적응하지 못했다. 거래액과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를 유지하기 위해 작년 하반기부터 역마진에 가까운 판매전략을 시도했고, 이것이 결정적 악수가 됐다. 평균 수익률이 10%가량인 플랫폼이 10~20% 할인 쿠폰을 남발했다. 업계에서는 "저러다 문제가 생길 것 같다"는 염려가 끊이지 않았다.

반면 발란과 달리 자금 상황을 개선하는 데 집중한 다른 플랫폼들은 여전히 건재하다. 명품을 잔뜩 걸친다고 사람이 명품이 되는 게 아닌 것처럼 겉만 신경 쓰느라 속을 돌보지 못한 결과가 이렇게 나타나고 말았다.

[김효혜 컨슈머마켓부 doubleh@mk.co.kr]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