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이끄는 경제사절단이 19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했다. 트럼프2기 행정부 출범 후 우리 재계가 미국 정부와 의회 인사들을 처음 만나 경제외교를 펼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으킨 '관세전쟁'에서 수출의존형 한국 경제는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된 상태다. 탄핵 사태로 정치 리더십마저 불안정해 경제사절단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졌다. 그렇다고 지레 위축될 필요는 없다. 세계 10위권 경제 강국의 저력과 미국 경제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기여도를 미국 측에 적극 설명한다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사절단이 미국으로 출발하기 몇 시간 전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반도체 관세에 대해서도 "25% 또는 그 이상"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한국이 매년 미국에 무역흑자를 내는 데 대해 불만을 표시해왔다. 작년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557억달러로, 세계에서 8번째로 많았다. 하지만 무역수지만 놓고 한국 기업들의 미국 경제 기여도를 평가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신규 대미 투자 1위를 기록했다. 2017년 이후 8년간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한 금액은 1600억달러(약 224조원)에 달한다. 무역흑자가 많은 것도 투자액과 관련이 크다. 미국에 공장을 지으려면 설비와 자재가 필요한데 미국 내 관련 공급망이 부족해 한국에서 수입을 한 것이다.
이번 사절단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SK, LG, 한화, 포스코 등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들의 사업 영역인 반도체, 배터리, 조선, 에너지 등 분야는 미국 입장에서도 한국과 협력이 절실한 분야다. 에너지를 예로 들면 미국산 천연가스의 최대 수입국 중 하나가 한국이다. 조선 경쟁력도 우리가 내세울 수 있는 강점이다. 미 해군 군함 건조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파트너로 한국 조선업체들이 거론된다. 물론 민간 경제사절단의 역할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국이 미국의 선의를 이용해 물건만 팔아먹는 나라가 아니라는 점만 각인시킬 수 있어도 대성공이다.
기사 상세
사설
방미사절단, 美에 최대 투자국 韓역할 적극 알리길 [사설]
- 입력 :
- 2025-02-19 17:30:51
- 수정 :
- 2025-02-19 17:38:3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이끄는 경제사절단이 19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하여 경제외교를 펼쳤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한국 재계가 미국 정부 및 의회와 만나는 중요한 자리였다.
사절단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SK, LG 등 주요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반도체, 배터리, 조선 등의 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방문을 통해 한국의 경제 기여도를 적극 설명하고, 관세 문제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글자크기 설정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2
인기뉴스
2025-10-07 08:29 기준
-
1
“돼지갈비찜, 잡채”…구치소서 추석 맞는 윤 부부
2025-10-06 06:39:49
-
2
“남아돌아 그냥 막 버렸는데”…다이어트 효과 탁월 ‘이것’ 뭐길래
2025-10-06 20:56:14
-
3
트럼프, 해군 기념식서 “세계 각국 美조선업에 수천억불 투자”
2025-10-06 10:17:39
-
4
동남아 더이상 가성비 아니다?…한국인 관광객 없이 싸고 힐링되는 태국 비밀낙원
2025-10-06 17:47:48
-
5
“미국엔 물건 안 팔아”…세계 수출 증가에도 관세 장벽 역풍
2025-10-05 11:32:13
-
6
“천장 뚫렸나” 금값 사상 최고가 또 경신…온스당 550만원선 돌파
2025-10-06 10:56:33
-
7
“밖에서 밥 사먹기 무서워요”…3천원대 프리미엄 버거가 잘 팔리네
2025-10-05 11:21:19
-
8
[단독] “다친 군인 CT 찍는 데 3일”…군의관 감소 직격탄 맞은 이곳
2025-10-07 05:56:12
-
9
오은영 박사 화장까지 전담했다…올해 매출 1500억 전망하는 정샘물뷰티 [인터뷰]
2025-10-06 17:23:56
-
10
연방정부 셧다운에도...AMD 불기둥에 나스닥 최고가 [월가월부]
2025-10-07 06:2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