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WSJ와 인터뷰서 밝혀
"한미 상호이익 발전시킬 것"
대선출마 질문에 웃으며
"현재로선 내 임무에 집중"
"한미 상호이익 발전시킬 것"
대선출마 질문에 웃으며
"현재로선 내 임무에 집중"

최 권한대행은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하길 희망하며 한국의 무역흑자가 미국 내 한국 기업의 투자 증가로 인해 일시적으로 확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간재 수요가 줄어들면 흑자 규모도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어 그는 "한미 관계를 더욱 균형 있고 상호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시키겠다"며 이를 통해 한미동맹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뷰는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날 진행됐다.
WSJ는 "삼성·현대 등 한국 대기업들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센티브 영향으로 미국에 수백억 달러를 투자해왔다"며 "지난 2년간 미국에 가장 많은 '그린필드 투자'를 한 국가는 한국"이라고 보도했다.
최 권한대행은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무역 확대를 저해하는 조치는 유익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국 조선업계가 미 해군 부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약속했던 미국산 제품 구매 계획을 초과 달성했다고 강조할 예정이라고 WSJ는 전했다.
WSJ는 최 권한대행이 대선 출마 여부를 묻자 웃음을 터뜨리면서 고개를 젓고 "현재로선 내 임무를 다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편 최 권한대행 주재로 13일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정부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 예산으로 필요한 물품을 선구매하고, 공공기관 구내식당을 주 1~2회 휴무하며 외부 식당 이용을 권장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