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문화

명절마저 얼려버렸나…국민 42% “집에서 쉬겠다”, 여행 의사 17%

장주영 기자
입력 : 
2025-01-23 09:50: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 명절 연휴 동안 집에서 쉬겠다는 응답이 41.6%로 나타나, 코로나19 이후 얼어붙은 국내 정서가 크게 반영된 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이번 조사에서 고향 방문 계획 응답자는 35.3%였으며, 국내 여행을 계획한 비율은 12.2%에 그쳤고, 여행지는 제주도와 강원도, 부산이 인기 있는 곳으로 꼽혔다.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44.8%에 달했으나, 경제 효과에 대한 의견은 엇갈려 신중한 시각이 드러났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최근 얼어붙은 국내 정서가 설 명절마저 얼린 것일까. 설 명절 연휴 기간 동안 집에서 쉬겠다는 여론이 40%를 넘어선 조사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등 최대 9일간의 황금휴가라는 점이 무색해지는 결과다.

설날 귀성 모습 / 사진 = MK DB
설날 귀성 모습 / 사진 = MK DB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는 전국 만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민족 대명절 설을 앞두고 설 연휴에 대한 여론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 설 연휴 전 체감 경기 ▲ 설 연휴 계획 ▲ 설 명절 문화 등 세 가지 주제로 설문을 벌였다.

피앰아이에 따르면, 설 연휴 동안 ‘집에서 쉴 예정’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1.6%였다. 그 뒤를 이어 ‘고향(본가)에 방문할 예정’이라는 응답이 35.3%, ‘미정’이라는 응답은 17.0%로 나타났다. 연휴 기간에도 출근하거나 업무를 할 예정이라는 응답은 7.0%였다.

사진 = 피앰아이
사진 = 피앰아이

국내 여행 12.2%, 해외여행 4.6%로 여행을 계획한 이는 16.8%였다. 특히 20대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국내 및 해외여행을 계획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30대는 연휴 기간에도 출근하거나 업무를 할 예정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고향 방문을 계획한 응답자 중 31.7%가 ‘설 이전 연휴 기간(1월 25일~27일)’에 이동하겠다고 답했고, ‘설 전날(1월 28일)’ 24.2%과 ‘설 당일(1월 29일)’ 21.7%에 고향을 방문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설 연휴 동안 여행을 계획한 응답자들 중 국내 여행의 경우, ▲ 제주도 ▲ 강원도 ▲ 부산 등이 인기 여행지로 꼽혔다. 반면 해외여행은 ▲ 일본 ▲ 태국 ▲ 베트남 등 근거리 국가들이 주를 이뤘다. 여행 동반자로는 가족이 63.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연인 13.2%와 혼자가 10.5%순이었다. 숙박 시설로는 호텔이 53.3%로 많은 선택을 받았고, 이어 펜션과 콘도/리조트가 인기를 끌었다.

사진 = 피앰아이
사진 = 피앰아이

설 연휴와 맞물려 올해 첫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1월 27일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은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응답자의 44.8%는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또는 ‘적합하다’고 평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36.0%는 ‘보통’이라고 응답해 중립적인 입장도 상당 부분 존재했다. 반면, ‘적합하지 않다’는 비율은 19.2%였다.

임시공휴일 지정이 직장인들의 근무 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응답자의 43.6%는 ‘1월 27일만 휴무’라고 답해 가장 일반적인 근무 유형으로 확인됐다. ‘1월 27일과 31일 모두 휴무’를 선택한 비율은 27.8%로, 긴 연휴를 계획하는 경향도 두드러졌다. ‘모두 정상 근무’를 선택한 응답자는 15.8%였으며, ‘1월 31일만 휴무’라고 답한 비율은 10.0%로 나타났다. 이는 설 연휴 전후의 휴무일 활용 방식이 개인별 또는 기업별로 다양하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임시공휴일 지정이 경제 및 관광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기대감이 엇갈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40.2%는 ‘약간 효과적일 것’ 또는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고 답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드러냈다. 이는 연휴를 활용한 국내 관광 활성화와 소비 증가에 대한 기대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23.8%는 ‘별로 효과적이지 않을 것’ 또는 ‘전혀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답해 신중한 시각을 보였다. ‘보통’이라는 중립적인 의견도 36.0%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해 경제적 효과에 대한 확신은 다소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