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연한 봄이 찾아오면서 무릎 관절염을 호소하는 환자도 빠르게 늘고 있다. 매년 3~5월 봄철에는 무릎 관절염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무릎 관절증 환자의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무릎 관절염 환자는 지난해 2월 87만7935명에서 3월 96만6677명, 4월 101만5297명, 5월 103만588명을 기록했다. 갑작스레 활동량이 많아지면서 경직돼 있던 근육이 무릎 관절을 잘 잡아주지 못해 통증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무릎 관절은 어느 부위보다 파열되기 쉽다. 많이 쓰이는 동시에 체중도 견뎌내야 하기 때문이다. 무릎 관절염은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는 무릎 연골이 점진적으로 소실돼 염증이 발생해 통증을 유발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원인은 다양하다. 봄철 날씨나 환경 변화도 통증의 주범이다. 봄철은 아침저녁으로 쌀쌀하고 한낮에는 따뜻해 일교차가 크다. 특히 봄철에는 운동이나 야외활동 등으로 갑자기 신체 활동량이 증가한다. 겨울을 지나는 동안 근육은 낮은 기온에 적응돼 수축되고 유연성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는 점을 고려하면, 급작스러운 활동량 증가는 무릎 관절에 큰 무리를 줄 수 있다. 김태섭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약화된 근육은 관절을 지지하는 힘이 떨어지고, 갑자기 활동하면 사소한 동작에도 관절이 통증을 더 심하게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봄철 야외활동을 건강하게 즐기려면 본인 체력에 맞게 운동하고 움직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 활동량이 갑자기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주일에 10% 정도씩 서서히 증가시키고, 가벼운 산책과 조깅, 등산 순으로 단계별 강도를 높이는 게 좋다. 운동 전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부상을 예방해야 한다.
관절염 단계 따라 약물·주사·수술 천차만별
무릎 관절염은 초기에 치료하는 게 가장 좋다. 문제는 증상을 방치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는 사실. 초기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고, 증상도 간헐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계단을 이용하거나 오래 앉아 있다 일어날 때 약간의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다. 하지만 이를 방치하다 보면 중기로 접어들면서 점차 통증이 심해진다. 말기가 되면 보행이 어려울 정도로 극심한 통증과 다리 변형을 유발한다. 인공관절 수술을 받을 수도 있다.
무릎 관절염은 단계별 치료법이 따로 있다. 초기에는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으로 증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중기 단계에 이르면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주사 치료 등으로 관절 통증을 줄이고 운동 범위를 넓혀 주위 근육을 강화하면서 관절 기능을 개선해야 한다. 가능한 인공관절 수술을 받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게 핵심이다. 최근에는 주사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활용된다.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주사가 대표적이다. PRP 주사는 환자의 말초 혈액에서 추출한 혈소판 풍부 혈장을 무릎 관절강에 주사하는 치료법이다.
[최창원 기자 choi.changwon@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303호 (2025.04.02~2025.04.08일자) 기사입니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