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아이치현 WRC 최종전 참관
현대차 드라이버 첫 우승 쾌거
도요다 회장 "서로 기술 연마중"
N·GR 등 고성능 브랜드 도전
양사 수소차 분야 협력도 강화
현대차 2030년까지 11조 투자
현대차 드라이버 첫 우승 쾌거
도요다 회장 "서로 기술 연마중"
N·GR 등 고성능 브랜드 도전
양사 수소차 분야 협력도 강화
현대차 2030년까지 11조 투자

24일 정 회장을 비롯한 현대차 경영진은 이날 도요타 가주 레이싱팀 서비스파크센터에서 도요다 회장과 만나 함께 시설을 둘러봤다. 서비스파크센터는 경기에 출전하는 차량 정비와 개보수를 위한 공간이다. 이날 회동에는 장재훈 현대차 사장과 사토 고지 도요타 사장도 함께했다.
이곳에서 정 회장은 도요타가 모터스포츠에 수소를 활용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도요타는 이번 랠리엔 사용하지 않았지만, 하이브리드 랠리카를 수소 에너지로 충전하는 시설을 시범 설치했다.
도요다 회장은 기자단에 "현대와 도요타는 N과 GR이라는 고성능 브랜드를 통해 모터스포츠에 도전하고 있다"며 "서로가 승리를 위해 노력하고 기술을 연마해 누구나 사고 싶은 차를 사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전날 도요타 본사를 찾아 사토 사장과 함께 양사 경영진 미팅을 가졌다. 지난달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한 두 회사는 막대한 개발비가 필요한 수소차와 관련해서도 협력 관계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도요타와 현대차는 판매량 기준 글로벌 1위와 3위로, 양사가 손을 잡으면 전동화 전환 등 자동차 산업 격변기에 큰 파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차 분야와 관련해 현재 현대차와 도요타는 1·2위 기업이다. 현대차는 넥쏘, 도요타는 미라이라는 이름으로 양산차를 판매 중이다. 현대차는 2030년까지 수소차와 수소연료전지 개발에 11조1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전기차 전환이 늦은 도요타는 수소차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밀고 있다. 모터스포츠 분야에서도 양사 간에 끈끈한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현대차 고성능 브랜드인 N을 총괄하는 박준우 상무는 "지난달 도요타와 모터스포츠 페스티벌을 한 뒤 양사가 부쩍 가까워졌다"며 "이번 대회에서 우리가 이미 해결한 기술적 문제에 대해 도요타 측에서 물어볼 정도"라고 귀띔했다.
현대차가 모터스포츠에 뛰어든 10년 전만 해도 도요타와의 기술 격차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는데, 이제는 대등한 수준이 됐다는 방증이다. 올해는 현대차가 모터스포츠에 재진입한 지 10년, 내년은 N 브랜드를 론칭한 지 10년이 되는 해다. N 브랜드는 정 회장의 의지가 담긴 작품이다. 현대차가 대중차 브랜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 고성능 브랜드 진출을 선언했고, 당시 BMW그룹 고성능차 전용 브랜드 'M 시리즈'의 개발 총괄 책임자인 알버트 비어만을 '삼고초려' 끝에 영입하면서 공들인 것이다. 이런 가운데 2014년부터 WRC에 재진입한 현대차는 올해 우수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현대차는 21~24일 아이치현과 기후현에서 열린 '2024 WRC 재팬 랠리'를 마무리한 결과, 드라이버 부문 우승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2019년과 2020년 두 차례 제조사 부문 우승을 차지한 적은 있지만, 드라이버 우승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시상식에서 정 회장은 "선수들과 팀들이 너무 많은 고생을 했다. 정말 자랑스럽고 감사하다"며 "최근 울산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났는데 연구원분들과 가족분들에게 정말 죄송스럽다. 우리가 좀 더 잘하겠다"고 말했다. [도요타(아이치현) 이승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