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10/17/rcv.YNA.20251016.PYH2025101600160007101_P1.jpg)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미국이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제기했던 3500억달러 대미투자 선불 요구를 철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진행한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어제 주요20개국(G20) 회의에 가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났다”며 “베선트 장관은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게 한국에도 좋고, 미국에도 좋다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베선트 장관이 한국 외환시장이 안정될 수 있도록 미국이 할 수 있는 협력이나 지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우리와 소통을 잘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 부총리는 특히 “미국 측이 3500억달러를 업프런트(선불)하라고 했을 때 한국이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는 것을 베선트 장관이 잘 이해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통상 협상 주체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관련한) 이야기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 측의 ‘선불 지급’ 요구를 막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냐는 질문에 구 부총리는 “그 부분을 (미국 측이) 이해하고 있으니까 그런 측면에서는 우리한테 좀 좋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베선트 장관에게 내부 전달을 요청했고, 미국 측의 이해도가 높아졌다며 “그런 면에서 ‘굿 사인’”이라고 덧붙였다.
한미 통화스와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통상협상은 러트닉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하는 게 본체”라며 “협상에 따라 필요한 외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고 많이 할 수도, 적게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장관이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방문해 한미 조선 협력사업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관련 논의를 진행했으나, 자신은 면담에 동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워싱턴DC에 머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