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구윤철 “미국, 3500억달러 선불 쉽지 않다는 것 잘 이해…협상에 ‘굿 사인’”

최아영 기자
입력 : 
2025-10-17 07:04:51
수정 : 
2025-10-17 08:03:3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미국이 한미 통상협상에서 제기한 3500억 달러 대미투자 선불 요구를 철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의 만남에서 미국 측이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의 입장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통상협상에 따라 필요한 외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미국이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제기했던 3500억달러 대미투자 선불 요구를 철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진행한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어제 주요20개국(G20) 회의에 가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났다”며 “베선트 장관은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게 한국에도 좋고, 미국에도 좋다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베선트 장관이 한국 외환시장이 안정될 수 있도록 미국이 할 수 있는 협력이나 지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우리와 소통을 잘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 부총리는 특히 “미국 측이 3500억달러를 업프런트(선불)하라고 했을 때 한국이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는 것을 베선트 장관이 잘 이해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통상 협상 주체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관련한) 이야기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 측의 ‘선불 지급’ 요구를 막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냐는 질문에 구 부총리는 “그 부분을 (미국 측이) 이해하고 있으니까 그런 측면에서는 우리한테 좀 좋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베선트 장관에게 내부 전달을 요청했고, 미국 측의 이해도가 높아졌다며 “그런 면에서 ‘굿 사인’”이라고 덧붙였다.

한미 통화스와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통상협상은 러트닉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하는 게 본체”라며 “협상에 따라 필요한 외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고 많이 할 수도, 적게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장관이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방문해 한미 조선 협력사업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관련 논의를 진행했으나, 자신은 면담에 동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워싱턴DC에 머물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